매장유산 조사

매장유산(문화재) 조사비용은?(발굴조사)

archaeteller024 2024. 8. 1. 20:16

지난 시간에는 표본조사와 시굴조사의 비용 계산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혹시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링크 타고 들어가셔서 확인해보시면 됩니다.

https://archaeteller.tistory.com/3

 

매장유산(문화재) 조사비용은?(표본조사, 시굴조사)

지난시간에는 매장유산 조사 허가를 받기 위해국가유산 협업포털 가입신청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그러나 가입 신청이 곧바로 되는게 아니고국가유산청의 승인을 받아야 하는 시간이 필요합

archaeteller.tistory.com

 

오늘은 발굴조사 비용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처음 시작은 국가유산 협업포털에 들어가셔서 

좌측 하단에 있는 조사대가 계산프로그램 배너를 클릭해줍니다.

 

새로 창이 뜨면 발굴조사를 선택해줍니다.

그리고 나면 표본조사 시굴조사와 다르게 화면이 나오는데요.

면적을 적는건 이전 조사와 똑같습니다. 다만, 발굴조사는 유적종류를 선택해줘야 하는데요

표본조사나 시굴조사에서 1종류의 유구만 확인된다면 좋겠지만

다양한 종류의 유구가 확인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럴때는 가장 많이 확인된 유구의 종류나, 중요한 유구의 종류를 선택해서 계산해보시면 됩니다.

이번에는 주로 확인되는 유적 종류인 생활유적으로 계산해보겠습니다.

 

 

다음은 보정계수를 작성해야 합니다.

여기서는 조사비용 계산을 위해

지형, 토질, 조사조건, 유물내용, 유구밀도, 유구식별난이도, 유구내용, 중층 등의 보정계수를 적용하여

조사비용을 좀 더 정확하게 계산하고자 합니다.

비율을 계산하여 복합으로 작성하면 좀 더 정확하겠지만

여기서는

평지, 작업진행이 쉬운 경우, 조사조건이 양호한 경우,

유물은 유구당 5점 이하, 유구밀도 10%미만

유구 식별 난이도는 쉬운 경우

유구 내용은 작업진행이 쉬운 경우로 계산하겠습니다.

단, 유적이 확인되는 층이 2~3개 이상일 경우에는 중층에 체크해주시기 바랍니다.

우측 하단 다음 버튼을 클릭하고 넙어갑니다.

(서울 4대문 안 쪽은 5~6개 층도 확인되는데 이는 특수한 경우로 조사기관에 문의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직접인건비가 계산되어 나올텐데요. 여기서도 조사원의 근무일수가 중요합니다.

추후 조사기간이 조사원의 근무일수 기준으로 나오기 때문입니다.

확인하시고 우측 하단 다음 버튼을 클릭합니다.

 

 

표본조사와 시굴조사처럼 직접경비는 요율로 산출하기를 클릭합니다.

 

 

직접경비는 직접인건비의 220~240% 사이에서 결정하는데요

여기서는 220%로 계산하겠습니다.

220%를 적고 입력 버튼을 클릭하시면 자동으로 계산됩니다.

그리고 우측 하단 다음 버튼을 클릭합니다.

 

 

제경비와 학술료인데요. 표본조사, 시굴조사와 마찬가지로

제경비는 직접인건비의 100~110%

학술료는 직접인건비+제경비의 20~30% 사이에서 결정합니다.

제경비 100%, 학술료 20%를 적고 입력 버튼을 클릭하시면 자동 계산됩니다.

그리고 우측 하단 다음 버튼을 클릭합니다.

 

 

이제 계산이 모두 끝났습니다.

그럼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올텐데요

비용은 155,650,000원 이고 조사 기간은 17.9일이네요.

 

 

프린트를 클릭하시면 각 항목에 대한 세부적인 내용확인이 가능하고

엑셀출력을 클릭하시면 엑셀 파일로 다운로드가 가능합니다.

엑셀파일 실행시 

파일이 손상되거나 안전하지 않을 수 있다는 오류 메세지가 나올 수도 있지만

그냥 열으셔도 상관 없습니다.

 

이상으로 매장유산 조사대가 계산 프로그램 사용법(발굴조사)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위의 계산식은 예시를 보여드린 것이며, 면적에 따라, 보정계수 적용에 따라, 계약 내용에 따라 바뀔 수 있습니다.